|
|
|
|
|
모니터
모니터암
프린터,복합기,스캐너
키보드
마우스
네트워크,케이블,젠더 +
스피커,헤드셋
저장장치(외장하드/외장SSD)
화상캠,영상장비
USB,메모리카드,리더기 +
토너,잉크,용지
전산용품
소프트웨어(운영체제) +
기타
|
|
 |
|
|
|
펜티엄4 PC란.. |
|
COMPARA |
 |
00/11/21 13:43 |
|
1638 |
펜티엄4 CPU를 탑재한 PC는 기존의 펜티엄Ⅲ PC와 구조와 설계에서 많은 차이점을 가지고 있다.
우선 펜티엄4 CPU를 탑재하기 위해서는 기존의 메인보드가 아닌 인텔에서 발표한 i850 칩셋을 탑재한 전용 메인보드를 필수적으로 사용해야 한다.
인텔, 아수스텍, 기가바이트에서 선보이고 있는 i850 메인보드는 400MHz의 시스템 버스와 펜티엄4가 사용하는 FCPGA 소켓423을 장착하고 있으며, 기존의 펜티엄Ⅲ나 셀러론 CPU를 사용할 수 없다.
메모리 역시 보편화된 SD램이 아닌 두 채널로 구성되는 램버스D램만을 사용할 수 있다.
펜티엄4 PC가 사용하는 램버스D램은 PC―800규격이 일반적이며, 단일 모듈이 아닌 짝수의 모듈을 장착해야만 시스템이 구동될 수 있다.이외에도 펜티엄4는 52W라는 높은 전력량을 필요로 하기 때문에 일반 전원공급장치가 아닌 ATX12V 규격으로 제작된 전용 전원공급장치가 필수적이다.
ATX12V 규격의 전원공급장치는 12V의 전원을 CPU 냉각팬에 직접 전원을 공급해 안정적인 CPU 냉각이 가능하며, 전원공급장치의 용량 또한 일반적인 250W 제품을 사용하지 않고 500W급의 고용량 장치를 사용한다.
이외에도 인텔은 CPU의 발열을 최소화하기 위해 케이스 후면에 냉각팬을, 전면과 측면에 공기 순환구를 배치할 것을 권장하고 있다.이같이 까다로운 구조로 인해 PC업체는 펜티엄4 PC를 생산하기 위해서는 기존 펜티엄Ⅲ PC와 달리 부품 수급부터 케이스 및 전원공급장치 설계까지 많은 부분의 기술이 필요하다.
따라서 일부 PC업체들은 대량생산과 품질 안정화를 위해 독자적인 기술을 개발해 적용하는 추세이다.내년 14분기부터는 관련 부품수급의 안정화와 시장 수요의 증가로 펜티엄4 PC가 대량으로 공급될 것으로 예상된다.
또한 인텔은 최근 2GHz급의 펜티엄4 CPU의 시연을 한 바 있어 내년 중반기에는 2GHz급 펜티엄4 PC도 출시될 것으로 전망된다.
[자료제공]디지털타임즈
|
|
|
|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