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
모니터
모니터암
프린터,복합기,스캐너
키보드
마우스
네트워크,케이블,젠더 +
스피커,헤드셋
저장장치(외장하드/외장SSD)
화상캠,영상장비
USB,메모리카드,리더기 +
토너,잉크,용지
전산용품
소프트웨어(운영체제) +
기타
|
|
 |
|
|
|
CD-ROM이란? |
|
COMPARA |
 |
00/12/15 12:47 |
|
6882 |
■
CD-ROM은 무엇일까요?
멀티미디어 시대에 필수적인 저장매체로 플로피
디스크의 적은 용량과 잦은 에러로 필요하게 되었고, 만들어질 때 이미 텍스트, 그래픽,
소리 등이 저장되어 있는 판독전용(read-only)이다.
판독전용이란 자료를 기록하거나 삭제할
수 없고, 자료에 접근만 할 수 있다는 말이다.
이것이 CD-ROM의 단점이다.
CD에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해서는 CD-ROM이라는
장치가 별도로 필요하다.
CD-ROM의 성능을 결정짓는 것은
최대의 속력에서 드라이브가 돌아갈 때의
진동과 소음의 최소화이다.
CD-ROM드라이브는 한때 1배속뿐이었으나,
지금은 2배속, 3배속, 4배속 등으로 발전해서
현재 48배속 제품이 출시되어 있는
상태이고, 앞으로 60배속도 나올 계획이다.
요즘 들어서 컴퓨터의 보급이 늘면서
대용량의 보조 기억 장치 및 각종 멀티미디어의 매체로 CD가
가장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점에서
CD-ROM DRIVE와 타이틀에 대한 이해를 필요로 한다.
외장형, 내장형 이런 CD-ROM 드라이브를
이제는 개인용 PC에 손수 설치할 수도 있다.
CD-ROM 드라이브는 누구나 설치할 수 있다.
■ CD-ROM의 분류
CD-ROM
드라이브는 FDD나 HDD처럼 PC 내부에 장착하는
내장형과 외부에 장착하는 외장형이
있다.
성능의 차이는 없으나 외장형은 별도의 케이스에 들어있고
자체 전원을 가지고 있어서 외부 전원 콘센트로 전원공급을 받는다.
드라이브의 기계적 구조는 내장형과
같으나 별도의 전원 공급기가 있고 케이스에 커넥터나
컨트롤러용 부품이 모두 붙어 있어서 외장형
드라이브의 뒷면에 나와 있는 커넥터에 케이블을 PC의
호스트 어댑터 카드와 연결하여 사용한다.
전원 공급기가 케이스에 함께 들어있는
것과 별도로 분리된 것의 두 종류가 나와 있다.
외장형은 케이스 가격과 연결 장치, 전원
공급기 등의 비용 때문에 내장형보다 약 10만원 비싸다.
사운드 카드에서 지원하는 SCSI-2 나
별도의 SCSI-2 인터페이스 카드가 있는 경우는 SCSI-2와
호환되는 외장형 CD-ROM 드라이브를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다.
내장형 CD-ROM 드라이브는 FDD와 마찬가지로
5.25" 드라이브가 들어갈 수 있는 공간에 장착할 수 있다.
일반 PC에 CD-ROM 드라이브를 설치하려면
5.25" FDD와 HDD가 설치된 곳 외에 5.25" 용의 드라이브가
들어갈 수 있는 자리가 비어 있어야
한다.
5.25" 자리가 있으면 FDD를 장착하는
것과 같은 요령으로 CD-ROM 드라이브를 장착하면 된다.
■ CD-ROM
드라이브에 디스크를 삽입하는 방식
근래에는
주로 트레이(Tray) 방식이 주종을 이루고
있다.
트레이 방식은 일반 CD
플레이어처럼 디스크를 담는 트레이가 나왔다 들어갔다
하면서 디스크를 로딩하는 방식이다.
그 외에 캐디(Caddie)라고 하는 플라스틱
케이스에 디스크를 담아서 드라이브에 밀어 넣는 캐디
방식과 드라이브의 뚜껑을 열고 디스크를
집어넣는 셀(Shell) 방식도 있다.
■ CD-ROM 드라이브의
인터페이스 방식
CD-ROM 드라이브의 인터페이스
방식은 AT 버스 방식과 SCSI
방식이 있다.
물론 SCSI 방식이 호환성과 확장성에서
우수하다고는 하지만 사운드 카드에서 지원해 주는 SCSI
인터페이스는 호환성이 완벽하게
보장되지 않는 경우도 있으므로 SCSI
인터페이스 카드에 연결되는
여러 기종의 SCSI 주변 장치에서 진정한 SCSI
방식의 확장성과 호환성을 원한다면 범용으로 나와있는
SCSI-2 전용 인터페이스 카드를 별도로
사용하는 것이 좋다.
AT 버스형의 인터페이스를 지원하는
사운드카드는 각자 자기의 인터페이스 맞는 CD-ROM
드라이브를 지정해 두고 다른 제조 업체의 CD-ROM
드라이브를 연결했을 경우에는 문제가 있을 수 있음을
밝히고 있다.
AT 버스형의 CD-ROM 드라이브를 선택한
경우는 사운드 카드도 거기에 맞는 것을 함께 설치하는 것이
공연한 문제를 야기 시키지 않는 길이
된다.
■ CD-ROM전송속도
D-ROM전송속도는 CD-ROM에서
읽혀진 데이터가 PC로 이동하는 속도를 말하는데 수치가
커질수록 고성능을 나타낸다.
동화상을 처리하려면 2배속(Double Speed:
300KByte/sec) 이상은 되어야 화면의 움직임이 제대로 보이겠지만 동화상을 자연스럽게
보려면 3배속은 되어야 한다.
과거에는 MPC 레벨 II에서는 CD-ROM
드라이브의 전송 속도를 300KB/sec로 규정하고 있다가 다시
나오는 CD-ROM 드라이브는 대부분이 2배속(Double
Speed) 300KB/sec 이상을 지원하고.지금은2,3,4배속을 훨씬 넘어선 32배속40배속 48배속 제품을
출시되어 있다.
정보가 필요할 때 디스크에 있는 필요한
정보의 위치까지 헤드를 가져가서 데이터를 읽기
시작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으로 수치가 작으면
작을수록 좋다.
MPC 레벨 II 규격은 390ms이지만 근래에
시판되고 있는 드라이브는 200~320ms 내외가 많으며 그보다. 빠른 것도 있지만 가격이 비싼 편이다.
■ 버퍼
메모리
CD-ROM에서 읽은 데이터를
잠시 대기시켜 놓는 메모리이며 시스템은 CD-ROM에서
데이터를 읽기전에 필요한 데이터가 있는지
버퍼부터 먼저 찾아보고 그곳에 데이터가 있으면 거기서
읽어오므로 속도가 훨씬 빨라질 수 있다. 버퍼의 크기는 최소한 64KB는 되어야
무난하며 크면 클수록 처리 속도가
빨라진다.
■ MTBF(Mean
Time Between Failure)
사용중에 기기의 문제가 발생할
가능성이 있는 시간 간격의 평균이라고 직역할 수 있으나
일반적으로 제품의 수명을
나타낸다거나 신뢰도를 나타낸다고 설명하기도 한다.
보통 25000 시간 이상이지만 수명은 사용환경이나 사용상태에 따라서
변할 수 있으며 수치가 커질수록 좋다.
CD-ROM 드라이브의 용량 대부분의 CD-ROM
드라이브는 680MB를 지원하나 일부는 540MB를 지원하는 것도 있다.
대백과사전 타이틀과 같이 680 MB 가까운
용량이라면 540MB용량의 드라이브에서 재생하는 것은
무리이다. 대부분의
CD-ROM 타이틀에 담겨 있는 자료의 크기는 540MB의 용량은커녕
100MB도 채우지 못하는 것도 수두룩하며 심지어는 2~30MB의
문자 정보나 프로그램 화일만 모아놓은 CD-ROM 타이틀도
심심치 않게 나돌아다니고 있다.
어쨌든 CD-ROM 타이틀은 용량이 문제가
아니라 효용성이 문제이므로 CD-ROM 드라이브는 용도에 따라 본인이 그에 적합한 것을 선택하는
것이다.
■ 오디오
CD란?
CD(Compact Disc)란 네덜란드의 세계적
가전 회사인 필립스(Phillips)와 일본의 소(Sony)가 1981년에 발표한 직경 12cm의 플라스틱 원반으로,
여기에 PCM 형식의 오디오 정보를 디지틀로
기록하여 CD 플레이어로 재생시키는 시스팀으로
구성되어 있다.
CD는 원래 오디오 정보를 디지틀
데이터로 기록하는 새로운 매체인"디지틀 오디오
디스크"로서 만들어진 규격이다.
■ CD
-ROM 드라이브의 구입요령.
CD-ROM 드라이브는 방대한 양의 자료를
단 한 장의 CD 타이틀에 담아놓은 다양한 타이틀의 출현으로 PC 사용자에게 필수 부품이 되 버렸다.
차세대 저장장치라는 DVD가 CD-ROM
드라이브의 미래를 어둡게 하고 있지만, 꾸준한 제품개발로
인하여 현재 32배속까지 시장에 나와있다. 32배속이
24배속에 비해 가격에 있어 큰 차이가 나지 않으니
40배속 제품을 선택하도록 하자. 하지만
배속에 따른 성능의 큰 기대는 하지 않는 것이 좋다.
|
|
|
|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