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터넷이 안되요
COMPARA
01/01/27 16:03
12690
 
■ 남들보다 느리고, 가끔가다 끊기기 까지

인터넷 전용회선을 쓰는 이가 많아져 연결공유를 하고 섶은 사람이 늘어났다. 네트워크 게임을 즐기는데 회선에 끊김이 많다. 내려 받기 속도가 느리다라는 말썽이 가장 많다. 인터넷 연결공유는 윈도우즈 98 SE부터 할 수 있다. 연결 공유 마법사로 간단하게 쓸수 있다. 스타크래프트 게임이 끊기거나 배틀넷에 들어가지 못할 때는 CIH 바이러스에 걸렸을 확률이 가장 많다. 인터넷 회선이 느리다면 회선 제공업자에게 전화 문의를 하는 것이 가장 빠른 해결 방법이다.

Q. 집에서 쓰는 케이블 전용선은 파일 내려받기는 빠르지만 게임이 자주 끊긴다. TCP/IP설정의 DHCP를 쓰면 된다고 해서 해보았지만 효과가 없다. 끊기지 않고 게임을 하려면 어떻게 해야하나?
A. 일단 바이러스 검사를 해보자. 바이러스에 걸리면 베틀넷에 접속이 되지 않는다. 전용선망에 이상이 있을 수 있다. 그래도 문제가 있다면 전용선 회선 제공업체에 전화로 문의한다.

 
Q. 하나로 통신 ADSL 라이트를 쓰고 있습니다. 한 회선을 2대의 컴퓨터가 쓸수 있는가.
A.  윈도우즈 98 SE에서는 인터넷 공유기능을 이용해서 한 회선으로 2대의 컴퓨터가 각각 다르게 인터넷을 쓸 수 있다. 먼저 윈도우즈 98 SE 버전을 쓰고 있는지 확인을 하고 
서버로 쓸 컴퓨터에 랜 카드 2개를 달아야 한다.

1. 준비가 되었다면 제어판의 네트워크를 수행해서 두개의 렌카드가 잡혔는지 확인하고 각각의 렌카드 세팅은 다음과 같이 맞춘다.

외장형 통신장치에 연결된 서버에 꽂힌 랜카드
    IP주소 : 자동으로 IP주소 지정
    WINS구성 : wins resolution 사용 안함
    게이트웨이 : 공란
    DNS구성 : 각자 사용하는 통신 서비스의 DNS 서버 주소 지정

다른 PC와 연결된 서버에 꽂힌 랜카드
    IP주소 : 192.168.0.1
    서브네트 마스크 : 255.255.255.0
    WINS 구성 : wins resolution 사용 안함
    게이트웨이 : 공란
    DNS구성 : 각자 사용하는 통신 서비스의 DNS 서버 주소 지정

클라이언트의 랜카드
    IP주소 : 192.168.0.2
    서브네트 마스크 : 255.255.255.0
    WINS 구성 : wins resolution 사용 안함
    게이트웨이 : 192.168.0.1
    DNS구성 : 각자 사용하는 통신 서비스의 DNS 서버 주소 지정

2. 제어판의 프로그램 추가/제거 → 윈도우 설치 → 인터넷 도구를 차례로 따라가서 인터넷 연결 공유를 고른다.

3
. 설치하면 자동으로 '인터넷 연결 공유 마법사'가 나타난다.

4
. 인터넷에 실제로 연결되어 있는 랜카드를 고른다. 랜카드 종류 가운데 IP주소를 '자동으로 지정'에 체크한 제품을 골라 '다음'을 누른다.

5
. 클라이언트 PC와 연결된 랜카드를 체크한다. 앞서 IP주소 지정 때 '192.168.0.1'로 써넣었던 랜카드를 말한다.

6
. 플로피디스크를 준비한다. 인터넷 공유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해 클라이언트에 깔아줄 프로그램을 디스켓에 복사해야 하기 때문이다. '다음'을 누르자.

7
. 인터넷 연결 공유 마법사가 끝났다. 이제 '마침'을 누른 다음 재부팅한다. 서버 컴퓨터에 대한 세팅은 이것으로 끝났다.

8
. 클라이언트 컴퓨터를 쓸 수 있도록 만들어 주자. 클라이언트에 설치할 디스켓을 컴퓨터에서 읽은 다음 실행 파일인 icsclset.exe를 두번 눌러 연다.

9
. 마침 버튼을 누르면 모든 작업이 끝이다. 서버와 클라이언트가 인터넷에 연결되어 있으면 바로 인터넷을 쓸 수 있다.

 
Q. 인터넷 익스플로러에서 정상적으로 URL주소를 입력하고 검색을 눌렀는데 화면에 '페이지를 표시할 수 없습니다'라는 메시지가 나온다. 그리고 바로 밑에 새로고침 네트워크 설정 검색창이 뜬다.
A. 익스플로러의 보안 등급 때문에 생기는 문제다. 인터넷 보안 등급을 고치려면 익스플로러의 메뉴 바에서 도구를 누른 다음 인터넷 옵션을 고른다.
인터넷 옵션의 두번째 탭인 보안항목을 열어 등급을 원하는 만큼 올리거나 내린 다음 확인단추를 눌러 치면 된다.
다른 이유로는 각 인터넷 서비스 업체마다 요구하는 인터넷 보안 세팅이 있다. 그 방식을 못 맞추면 그와 같은 현상이 일어날 수 있다.

 
Q. 윈도우즈 Me를 깔아 쓰고 있다.. 메일을 확인하려고 로그인 하면 쿠키 허용이 되지 않는다며 내용이 뜨지 않는다. 인터넷 옵션에서 쿠키를 쓰도록 고쳐도 마찬가지다.
A. 쿠키 허용이 되도록 고쳐도 안되면 인터넷 설정을 모두 기본으로 바꾸어 본다. 윈도우즈 디렉토리의 temporary internet files 폴더를 보면 쿠키 파일들이 있다. 또 windows 디렉토리의 cookies라는 폴더에도 쿠키 파일들이 있다. 그 파일들을 모두 지우고 처음과 같이 쿠키를 허용하는 것으로 바꾼다.

 
Q. 56K 모뎀과 28.8K 모뎀을 함께 쓸수 있나?
A. IRQ충돌만 없으면 모뎀 두개를 함께 쓸수 있다. 보통 PS/2방식의 마우스를 쓰면 모뎀을 COM포트 3번과 4번으로 잡는다. 시리얼 마우스여서 COM포트 1번이나 2번을 이용한다
면 강제로 모뎀이 5번 포트를 쓰도록 해야 한다. 하지만 5번 포트는 불안정하고, 시스템이나 모뎀 특성에 따라 되지 않는 것이 있다. 모뎀 두 개를 함께 쓰려면 전화선 두개가 필요하고, 통신 프로그램에서도 각 모뎀이 쓸 포트를 정확하게 골라 줘야 한다.

 
Q. PC에서 COM1, 2, 5포트만 있는 것으로 나온다. 모뎀을 COM3, 4포트로 쓰려면 어떻게 해야 하나.
A. 모뎀이 ISA방식이면 메인보드에 있는 점퍼를 IRQ포트 고치는 방법으로 바꾼다. COM포트를 올바르게 맞추는 것이다. PCI 모뎀 중에 점퍼를 쓰는것도 있다. 이럴때는 메뉴얼을 잘 보고 모뎀을 올바른 슬롯에 단다. COM 3, 4포트를 강제로 만들려면 제어판의 새 하드웨어 추가를 열어 포트를 더하고 주소를 COM3, 4로 바꿔준다. 포트를 새로 만들어 번호를 정하는 과정을 보자.

 
QPCI모뎀과 소프트 모뎀이 같은 것인가요?
A. 다르다. PCI(peripheral component interface)모뎀은 PCI슬롯에 연결하는 것으로서 데이터 전송 속도가 빠르고 병목현상과 시스템 리소스 소모가 적은 모뎀이다.
소프트 모뎀은 데이터를 보낼 때 디지털 신호를 아날로그 신호로 바꾸고, 데이터를 받을 때는 그 일을 모뎀이 하지 않고 CPU가 대신 해 준다. 이 때문에 CPU가 MMX 166MHz 이상은 되어야 소프트 모뎀을 무리 없이 쓸 수 있다.

 
Q. 노트북에 모뎀을 달려는데 COM1과 COM2에서 모뎀을 찾을 수 없다고 한다.
A.  노트북용 모뎀은 내장 모뎀과 PC카드 모뎀이 있다. PC카드 모뎀은 카드를 밀어 놓고 드라이버를 깔면 끝이다. 이때 3번 포트를 많이 쓴다. 이것은 노트북에 있는 적외선 포트가 COM1을, 시리얼 포트가 COM2를 쓰기 때문이다. 노트북에 적외선 포트와 시리얼 포트가 모두 있고 내장형 모뎀이 포함되어 있다면 내장형 모뎀이 COM3번이 되고, 여기에 PC카드 모뎀을 추가하면 COM4번이 된다. COM1, COM2에서 모뎀을 찾지 못하면 COM 3, COM 4포트를 추가해 찾아보고, 이렇게 해도 찾지 못하면 노트북의 바이오스 설정을 확인해보자.
내장 모뎀(internal modem)이 이용 불가능(disable)이라고 되어 있을 것이다.

Q. mp3 파일을 들으면서 통신에 접속하려고 하면 소리가 끊어진다. 그러다가 접속하면 다시 음악이 나온다. PC제원은 펜티엄III 450MHz이고 모뎀은 US로보틱스 56K PCI다.
A.  노트북용 모뎀은 내장 모뎀과 PC카드 모뎀이 있다. PC카드 모뎀은 카드를 밀어 놓고 드라이버를 깔면 끝이다. 이때 3번 포트를 많이 쓴다. 이것은 노트북에 있는 적외선 포트가 COM1을, 시리얼 포트가 COM2를 쓰기 때문이다. 노트북에 적외선 포트와 시리얼 포트가 모두 있고 내장형 모뎀이 포함되어 있다면 내장형 모뎀이 COM3번이 되고, 여기에 PC카드 모뎀을 추가하면 COM4번이 된다. COM1, COM2에서 모뎀을 찾지 못하면 COM 3, COM 4포트를 추가해 찾아보고, 이렇게 해도 찾지 못하면 노트북의 바이오스 설정을 확인해보자.
내장 모뎀(internal modem)이 이용 불가능(disable)이라고 되어 있을 것이다.

 
Q. 필터 모뎀을 쓰면 통신 속도가 빨라진다고 들었다. 필터 모뎀은 무엇이고 어떻게 쓰는 것 인가.
A.  필터 모뎀은 쓰지 않는 모뎀으로 잡음을 걸러 내는 것이다. 즉 전화선과 모뎀 사이에 구형 모뎀을 두면 속도가 빨라진다고 하지만 큰 효과는 없다. 통신 접속이 자주 끊기고 속도가 느리면 전화선이 깨끗한지 전화국(100)에 회선 점검을 받는 것이 좋다.

 
Q. Explore가 모듈에서 잘못된 페이지 오류를 일으킨 경우에 대한 내용.
A.  98 운영체제에서 이러한 메세지를 많이 보게 될 것입니다. 

프로그램이 잘못된 작업을 수행하여 종료됩니다. 
문제가 계속되면 프로그램 공급업체에 문의하십시오. 

그리고 '자세히' 버튼을 클릭하면 이러한 내용을 보게 됩니다. 

IExplore가 모듈 ???.DLL의 주소 014e:8306e216에서 잘못된 페이지 오류를 일으켰습니다. 

이러한 문제는 인터넷 익스플로러의 손상된 파일에 관련된 오류입니다. 

'즐겨찾기'에서 추가를 선택하고 추가를 해봅니다. 그래도 오류가 나타나면 Explore 복구 도구를 실행합니다. 

마우스 커서를 아이콘에 갖다대고 '등록정보' 창을 부릅니다. 

'임시 인터넷 파일 삭제'를 누릅니다. 
'열어본 페이지 목록 지우기'에서 '확인' 버튼을 누릅니다. 
'제어판'에서 '프로그램 추가/제거'를 클릭합니다. 
'인터넷 익스플로러 5 및 인터넷 도구'를 누른 다음 '추가/제거'를 클릭합니다. 
'인터넷 익스플로러 복구'를 클릭합니다. 

그리고 컴퓨터를 다시 시작합니다. 

이렇게 해서 인터넷 익스플로러 프로그램을 다시 설치하면, 오류 문제 해결을 할 수가 있습니다. 

자료참조 [PC사랑]

       
 
 
 
 
 
 
 
휴먼CNH
서울특별시 용산구 새창로45길 42, 3층(신계동)
법인명(상호):휴먼CNHㅣ대표자:최광진ㅣ개인정보관리책임자:한승균ㅣE-mail:webmaster@icompara.co.kr
사업자등록번호:825-18-02192ㅣ통신판매업신고:제2023-서울용산-1425호

대표전화: 02-3273-8244 | 팩스번호:02-706-1799

Copyrighⓒ 1999-2024 COMPAARA All rights reserv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