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
모니터
모니터암
프린터,복합기,스캐너
키보드
마우스
네트워크,케이블,젠더 +
스피커,헤드셋
저장장치(외장하드/외장SSD)
화상캠,영상장비
USB,메모리카드,리더기 +
토너,잉크,용지
전산용품
소프트웨어(운영체제) +
기타
|
|
 |
|
|
|
PC가 먹통 될 때 |
|
COMPARA |
 |
01/01/15 15:53 |
|
11653 |
■ 전원을 넣어도 까만
화면에 툭하면 멈출때 어떻게 할까요?
PC를 새로 조립했는데 윈도우즈가 깔리지 않는다. PC에
전원을 넣으니 까만 화면 그대로 켜지지 않고 삐소리만 내
뱉는다. 암호만 넣으면 먹통이 된다. 3D 카드를 달고 게임을
시작하니 먹통이 된다. 이처럼 키보드나 마우스를 아무리
움직여도 PC에서 반응이 없을 때 메인보드에서 뺴소리로
어디가 망가졌는지 알려준다.
Q. PC를 켜니 삐소리가 몇 번 나면서 먹통이 되었다. |
A. 메인보드는 케이블이 잘못 꽂혀 있다던가 메모리 그래픽카드 등이 느슨하게 꽂혀있다던가 메모리나 그래픽카드 등이 느슨하게 꽂혀 있다면 곧바로 삐소리(비프음, beep)로 알려준다.
CMOS바이오스가 어워드(award)사인지 아미(ami)사인지에 따라 내는 소리가 틀리므로 자기가
어떤 회사의 바이오스를 쓰는지 부팅할때 살펴보자. |
Q. 윈도우즈98 SE를 쓰고있다. 부팅하면 암호를 물은 다음 바로 먹통이 된다. 플로피디스크 드라이브로 부팅해서 윈도우즈를 다시 깔려고 해 보았지만 에러메시지만 뜬다. 하드디스크에 문제가 생긴 것은 아닌지 걱정된다. |
A. 암호를 물은 다음에 먹통이 된다면 시스템 레지스트리에 문제가 생긴 윈도우즈 에러로 보인다. 이는 윈도우즈를 안전 모드로 부팅을 한 다음 레지스트리 복구용 프로그램을 써본다. 만약 이 것이 힘들다면 윈도우즈 CD를 이용해서 CD롬 부팅을 한 다음 fdisk로 파티션을 새롭게 잡고, 포맷해서 윈도우즈를
까는 것이 가장 확실한 해결 방법이다. CD로 부팅한 다음에도 하드디스크가 제대로 읽히지 않는다면 하드디스크에 문제가
생긴 것이기 때문에 애프터서비스를 받아야 한다. |
Q. PC를 조립한 뒤에 윈도우즈를 깔려고 했더니
suwin
에러라는 메시지가 뜨면서 시스템이 멈춘다. 시스템은 펜티엄III 450MHz에 메모리는 64MB, 하드디스크는 IBM사의 13.5GB이다.
|
A. suwin 에러 메시지는 도스에서 윈도우즈를 깔 때, 디스크 검사를 끝내고 하드디스크에 윈도우즈를 설치할 때 필요한 파일을 모두 복사하고 윈도우즈 모드로 작동할 때 나오는 메시지다. 메모리나 메인보드에 문제가 있거나, 윈도우즈 설치 원본이 잘못되었기 때문이다. 메모리를 다른 것으로 바꾸거나 일부를 뽑아낸 다음 윈도우즈를 깔아보고, 하드디스크에 배드섹터는 없는지, 똑같은 윈도우즈로 다른 시스템에서는 설치가 잘 되는지 등을 확인한다. 불법으로 복제한 윈도우즈 98에서 suwin에러 메시지가 자주 나타난다. |
Q. 시작버튼을 눌러 대기모드로 들어가거나 컴퓨터 전원을 한번 누르면 대기모드로
들어갈 수 있지만 빠져 나오지는 못한다.
|
A. CMOS의 power management setup 메뉴안에 들어가 ASPI function을 enabled로 바꾸고, power management를 알맞게 고른다. 또, PM Control by APM을 yes로 바꾼다.
|
Q. MS 오피스 97을 쓰고
있다. 얼마 전부터 확장자가 ppt라는 파일이 생기더니 크기가 2MB가 넘었다. 이 파일을 불러오려고 하면 시스템이 멈춰버린다.
|
A. 확장자가 ppt인 파일은 MS 파워포인트에서 만들어진 것이다. 그 속에는 여러가지 특수효과 파일이 포함될 수 있지만, 파일 하나가 2MB나 되는 것은 흔한 일이 아니다. 두 가지 가능성을 볼 수
있다. 먼저 파일에 담긴 데이터를 처리하기 위해 시스템이 일을 하고 있는 것이다. 이 때는 조금 더 기다려보아야 한다. 5분 이상 기다려도 반응이 없으면 재부팅 해본다. 두 번째는 ppt 파일이 손상된 것이다. 파일이 손상되었는지 정상인지 검사하는 능력이 없다면 정상인 것으로 알아채어 읽는다. 이렇게 되면 잘못된 데이터가 메모리에 들어가고, 시스템 작동에 중요한 부분을 건드릴 수 있다. 이때는 디스크 검사등을 해보고, 다른 시스템에서도 그렇게 멈추는 현상이 나타나는지 확인해 본다.
|
Q. 3D 게임을 좋아해서
부두
3 3500 그래픽카드를 사서 달았다. 그런데 게임을 하면 30분이 채 못되어 컴퓨터가 먹통이 된다. 윈도우즈를 새로 깔아도 마찬가지다. 파워 스크립트 프로그램으로 다운클럭킹을 하거나, 부두3 2000 드라이버를 깔아 쓸 수 있나? |
A. 부두3 3500카드에 2000 드라이버는 쓸 수 없다. 부두3 3500 전용 드라이버를 깔아야 한다. 게임을 할 때 먹통이 된다면 그래픽카드의 드라이버를 최신버전으로 내려 받아 업데이트 하고, 다이렉트 X를 최신버전으로 깐다. 그래도 계속 먹통이 되면 카드 자체 불량이다. 산 곳에서 교환 받는것이 좋다. |
Q.
엔비디아사의 리바
TNT칩을 얹은 3D 그래픽카드를 꽂아 쓰고 있다. 피파
2000 게임을 할 때 3D 셋업에서 TNT를 고른 다음
프로그램을 띄우면 하얀색 화면만 나온다. 제대로
겜임을 즐기려면 어떻게 해야 하는가? |
A. 엔비디아사의 리바 TNT, TNT 2 시리즈 제품들은 EA사 게임을 돌릴 때 제대로 돌아가지 않는 때가 종종 있다. 먼저 그래픽카드 드라이버를 최신 것으로 받아서 깔아본다. 엔비디아사의 홈페이지에서 내려 받을 수 있다. 이때, 이미 깔려 있던 드라이버를 완전히 없앤 다음 새로 까는 것이 좋다. 게임도 지웠다가 다시 깔아야 한다. |
Q.
여러가지 부품을 사서 시스템을 직접 조립했다. 하지만 무엇이 잘못 되었는지 윈도우즈 98 SE 있는 미디어 플레이어로 실시간 동영상을 보거나 3D 게임을 돌리면 빈번히
먹통이 된다. PC는 애슬론 700 CPU와 256MB 메모리, 아수스 K7V 메인보드, 윈패스트 지포스
DDR+, 중도 체르니 인터넷폰 사운드카드, 세븐팀 250W 파워서플라이로 조립했고, ADSL로 통신한다. |
A. 미디어 플레이어 재생이나 3D게임을 하면 먹통이 되는 것은 CPU에 문제가
있는 것이다. CPU 온도가 너무 높거나 오버클럭킹 되어
있을 때 이런 현상이 생긴다. CPU가 오버클럭킹 된 것인지 메인보드 바이오스 셋업을 확인해본다. 내부 온도가 너무 높을 때는 먹통이 잦아지므로 되도록 성능 좋은 쿨러를 달고 케이스 통풍이 잘 되도록
해놓는 것이 좋다. |
▶ 어워드사의 바이오스
어워드사의 바이오스는 쉬운 메뉴화면으로 이름났다. 삐소리로 고장을 알려주는 횟수도 적어 간단하다. 대부분의 에러는 PC 장치들이 연결이 헐거워졌다던가
살짝 빠졌다던가 등에서 나온다. 문제가 생긴 그래픽 카드나, CPU, 메모리 등을 뺐다 꾹 눌러 꽂는다.
삐소리 횟수 |
원인 |
해결 |
짧게 한번 |
모든 장치가 정상이다. |
짧게 두번 |
치명적이지 않은 에러 |
예를 들어 실제로 하드디스크 드라이브는
하나인데 CMOS바이오스엔 두개로 잡았을 때 일어난다.
키보드의 del키를 눌러 바로 잡니다. |
짧게 세번 |
키보드 에러 |
키보드 커넥터가 제대로 꽂혀 있는지 살펴본다. 잘 꽂혀있는데 에러가 났다면 키보드를 바꾼다. |
길게 한번하고 짧게 한번 |
메인보드 에러 |
하드디스크 드라이브나 CD롬 드라이브 케이블이 느슨하게 빠진것은 아닌지, 슬롯에 그래픽카드나 사운드카드가 제대로 꽂혀 있는지 살펴보자. |
길게 한번하고 짧게 두번 |
그래픽 카드 에러 |
그래픽카드를 다시 뺐다 꽂는다. |
소리없이 모니터 화면이 먹통 |
전원공급 불량 또는 합선 |
파워 서플라이, CPU, 메모리, 메인보드가 망가졌을때 나타난다. AS를 받는다. |
삐소리가 계속 날때 |
시스템 에러 |
슬롯이나 소켓에 꽂는 그래픽카드, 사운드카드 중에 잘못
끼워졌을 때 나타난다. |
▶ 아미사의 바이오스
아미사의 바이오스는 PC 장치들을 자세히 다스릴 수 있는 고급 메뉴화면으로 이름났다.
하지만 최근에는 쓰지 않는 메뉴들을 빼 쉽게 보이려 했다. 삐소리로 고장을 알려주는
횟수수도 알기 쉽다.
거의 대부분의 에러는 PC 장치들이 연결이 헐거워졌다던가 살짝 빠졌다던가 등이다. 문제 있는 그래픽 카드나, CPU, 메모리 등을 뺐다 꾹 눌러 꽂는다.
삐소리 횟수 |
원
인 |
해
결 |
1번 |
정상이다 |
모든 장치들이 정상일 때 알려준다. |
2번 |
패러티 체크 실패 |
메모리가 잘못 꽂혀있다던가 메인보드의 메모리 소켓이
망가져서 일수도 있다. 다른 메인보드에 메모리를
꽂아보아 어느 쪽에서 망가졌는지 확인하고 AS를
받는다. |
3번 |
기본 메모리 체크 실패 |
4번 |
시스템 타이머 실패 |
메인보드에 동전처럼 생긴 건전지가 망가졌을 때 일어난다. AS를 받는다. |
5번 |
CPU에러 |
CPU를 뺐다 꽂아 보고 그래도 에러가 난다면 다른 CPU를 단다. |
6번 |
키보드 에러 |
키보드 커넥터가 제대로 꽂혀 있는지 살펴본다. 잘 꽂혀있는데 에러가 났다면 키보드를 바꾼다. |
7번 |
CPU 인터럽트 에러 |
메인보드에 잘못된 CPU를 꽂았을 때, CPU가 망가졌을 때 나타난다. |
8번 |
그래픽카드 에러 |
그래픽카드가 망가졌든가, AGP 포트에 잘못끼웠을 때 나타난다. 그래픽카드를 뺏다가 꾹 눌러 끼운다. |
9번 |
플래시 바이오스 체크 에러 |
CMOS 바이오스 값이 실제 달려있는 PC장치와 다르면 나온다. 바이오스에는 하드디스크가 2개로 잡았는데 실제로 하드디스크는 1개만 달았다면 올바르게 고쳐준다. |
10번 |
CMOS 읽기, 쓰기 에러 |
메인보드가 망가진 것이다. AS를 받는다. |
11번 |
캐시 메모리 에러 |
CPU의 L2캐시가 망가졌을 때
나타난다. CPU를 바꾼다. |
자료참조 [PC사랑]
|
|
|
|
|
|
|
|
|
|
|
|